[사설]주목되는 동네서점들의 연대와 자구 노력
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경제칼럼

[사설]주목되는 동네서점들의 연대와 자구 노력

by eKHonomy 2015. 5. 25.

개정된 도서정가제가 시행된 지 6개월이나 지났음에도 아직 그 효과는 미미한 듯하다. 반값 할인은 중단됐지만 제휴카드 청구 할인 등 우회적 방법으로 정가제를 위반하는 사례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당초 고사 직전의 지역서점을 살리겠다는 취지도 무색해졌다. 기대가 컸던 동네서점들은 도서정가제 이후 오히려 서점을 찾는 손님이 더 줄었다고 불만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강동구의 동네서점 11곳이 대형서점에 맞선 자구책으로 협동조합을 꾸려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점 주인들만 모여 정식 인가를 받은 전국 첫 서점협동조합이라고 한다. 강동구청도 구립도서관과 동주민센터의 작은 도서관 등에서 조합의 책들을 우선 구매하기로 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고 한다. 지자체들의 동네 작은 서점 지원 정책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셈이다. 서울과 부산의 각 구청들과 경기 고양시와 수원시, 전북 전주시 등 지자체들은 이미 도서관의 책을 지역서점에서 구입하는 등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 등 지역 교육청들도 산하 도서관들의 지역서점 도서 의무구매를 시행하고 있다.

전국 20평 미만 소규모 동네서점 및 서울 지역 100평 이상 서점 추이 (출처 : 경향DB)


참고서 문제집 등의 판매에만 의존해온 동네서점들의 변신도 주목된다. 최근 들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인문학 강연회, 독서클럽이나 세미나와 워크숍을 하는 동네서점이 부쩍 늘어났다고 한다. 작가와의 만남, 작은 음악회, 미술 전시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열기도 한다. 대형서점이나 인터넷 서점들은 할 수 없는 ‘문화 사랑방’ 역할로 차별화를 꾀하려는 시도일 터이다. 쇠락하는 동네서점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으로 주목할 만하다.

동네서점은 급속히 줄어들어 이제는 전국에 1600여개만 남았다. 1998년 4897개에서 3분의 2가 줄었다. 서점 감소는 출판사 매출 부진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책값이 비싸져서 독자가 더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동네서점을 살려 지역문화 거점으로 만드는 일에 적극 나서야 할 이유다. 특히 정부는 하루빨리 지역서점 발전을 위한 도서정가제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찾아야 한다. 서점들은 지금 같은 부분도서정가제가 아니라 100% 도서정가제를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서는 단순히 종이와 잉크로 만들어진 상품만은 아니다. 인간 정신의 표현이며 사고의 매체이며 모든 진보와 문화발전의 바탕이다.” ‘도서헌장’에 나오는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