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방식을 통한 민영화가 추진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1월31일 현대중공업과 인수·합병을 위한 조건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현대중공업과 산업 재편 필요성 등에 대해 공감대를 이뤄 우선적으로 인수·합병 절차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산은은 삼성중공업 측에도 인수 의향을 타진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과의 단독협상은 아니라는 의미다. 대우조선해양의 민영화는 현대중공업을 최대주주로 하는 중간지주회사를 세우고 여기에 대우조선해양이 주식을 현물출자하는 형식이다. 산은은 합작법인을 통해 이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공적자금을 회수하겠다는 의도이다.
이동걸 산업은행장이 3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대우조선 해양 민영화 관련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정근 선임기자
이번 민영화 추진은 대우조선해양이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후 20년, 한화그룹과의 인수협상이 결렬된 후 10년 만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극심한 경영난에다 분식회계 등으로 파란을 겪었다. 고비마다 산은에서 지원한 자금을 포함해 공적자금만 13조원이 투입됐다. 민영화 추진으로 산은이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합병이 성사된다면 국내외 조선업계에 커다란 지형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국내 조선업계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의 ‘빅3’ 체제에서 ‘빅2’ 체제로 재편된다. 어느 경우든 세계 유수의 조선사들이 합병하는 것이어서 ‘공룡조선사’가 탄생하는 의미도 띤다. 그동안 국내 조선업계는 과당경쟁으로 헐값 수주경쟁을 벌이면서 부실을 키워왔다. 경쟁사가 줄어들면 정상적인 선가 확보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이룰 수 있다. 경쟁력을 높이고 돈도 벌 구조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합병은 한국은 물론 관련 국가의 기업결합심사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이들이 ‘공룡조선사’의 출현을 반길 리 없다는 점이다. 불황을 겪었던 조선사들이 합병을 감당할 체력을 갖추고 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무엇보다 큰 과제는 고용안정이다. 현대·대우 합병의 경우 사업영역이 겹치는 분야의 고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당장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날로 예정됐던 임금 및 단체협약에 대한 찬반투표를 연기했다. 성공적인 민영화를 위해 고용안정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합병 절차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이는 새 출발하는 합병회사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온라인 경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고]‘공시가격’ 공평한 잣대와 눈금 (0) | 2019.02.12 |
---|---|
[경제시평]공기업 정책, 사회적 가치 관점서 봐야 (0) | 2019.02.07 |
[기고]분식회계와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오해 (0) | 2019.02.01 |
[여적]구독경제 (0) | 2019.02.01 |
[사설]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 인수, 고용안정이 관건 (0) | 2019.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