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안전사고에 의한 사망자가 또 발생했다. 현대제철과 구조물 안전진단 계약을 한 현대종합설계 소속 노동자가 그제 철강공장 지붕 위에서 안전점검을 하던 중 20m 아래로 추락해 숨진 것이다. 당진공장에서는 2007년 이후 중대 재해만 20여건이 발생해 30명가량이 사망하고 10여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제철에 대해 ‘사고제철’ ‘노동자의 무덤’이라는 불명예가 따라다니는 것도 이처럼 다발하는 노동자의 안전사고 참사 때문이다. 고용노동부가 마침내 현대제철을 ‘안전관리 위기사업장’으로 특별관리하겠다고 밝힌 만큼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한다.
빈발하는 안전사고에서 보듯 현대제철의 위험 불감증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5월 전로제강공장에서 보수공사를 하던 협력업체 노동자 5명이 아르곤 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뒤 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한 결과 안전보건관리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인 안전관리부터 엉망이란 얘기다. 당시 현대제철은 노동부의 점검 결과를 수용해 안전대책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사망 사고가 또 발생했으니 할 말이 없게 됐다. 더욱이 이번 사고가 발생한 그제는 지난달 26일 당진공장 내 현대그린파워 발전소에서 일어난 가스 누출 사망 사고 후 노동부가 2주 예정으로 두 번째 특별근로감독을 벌인 첫날이었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안전제일' 문구가 붙어 있는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A지구 입구(출처 :경향DB)
현대제철은 혹시라도 이번 추락 사고가 협력업체 노동자의 실수로 발생했기 때문에 자신은 직접적인 잘못이 없다는 식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시설보수나 안전진단 등 위험한 작업을 전문 협력업체에 외주를 주더라도 사고가 사업장에서 발생했다면 원청업체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현행법상 하청업체의 안전사고에 대한 원청업체의 처벌이 미미하다고 책임을 회피하려 해서는 안된다. 정몽구 회장의 말처럼 현대제철이 생산·개발한 강판으로 만든 신형 제네시스를 세계적인 명차로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사업장의 안전 확보는 기본으로 갖춰져야 한다.
사업장의 안전사고는 최고경영자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줄이고 막을 수 있다. 현대제철도 최고경영자가 평소 경영효율 못지않게 안전경영을 특별히 강조했다면 이처럼 대형 사고가 자주 발생하지 않았을 수 있다. 이제는 정 회장이 직접 나서 현대제철의 안전을 챙겨야 한다. 그토록 오래 꿈꿔오다 비로소 갖게 된 일관제철소가 죽음의 공장이란 오명을 들어서야 되겠는가.
'온라인 경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메모]정부의 ‘유전소통 무전불통’ (0) | 2013.12.10 |
---|---|
[사설]‘철도 파업’ 민영화 불신 해소가 관건이다 (0) | 2013.12.09 |
[정동칼럼]전쟁과 복지 (0) | 2013.12.03 |
[기고]노사가 함께 준비하는 ‘정년 60세 대책’ (0) | 2013.12.02 |
[기자메모]‘낙하산 근절’ 약속 빠진 현오석의 공공기관 개혁 (0) | 2013.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