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물가·빚 폭탄에 찌든 가계, 재무개선 방안 찾아야
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제윤경의 안티재테크

전세·물가·빚 폭탄에 찌든 가계, 재무개선 방안 찾아야

by eKHonomy 2011. 2. 28.

제윤경|에듀머니 이사

최근 주부들이 장을 볼 때 물건을 카트에 담기가 무섭다고 한다. 파 한단에 4000원, 감자 4개에 7000원. 겨우 채소 두 가지를 샀을 뿐인데 1만원이 넘어선다. 가뜩이나 전세난으로 심란한 마음이 가득한데 물가까지 무섭게 치솟아 하루하루 사는 게 괴롭다. 게다가 앞으로의 상황도 국제 유가가 더 치솟는 등 세계 경제 불안정성이 커질 위험이 있으니 조금만 참으면 될 것이란 위로도 할 수 없다.

<경향신문 DB>

경기침체 속의 인플레이션 즉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미래에 대해 불안해 하는 것이 당연하다. 게다가 가계부채의 심각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정부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하면서 가계 신용잔액은 25조원가량, 주택담보대출은 10조원가량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야심찬 해법(?)이 고물가, 전세대란 앞에서 가계 경제를 무섭게 위협하는 폭탄이 됐다. 주택담보대출부터 마이너스 통장, 카드 대출까지 빚은 잔뜩인데 당장 부채 원금을 갚기는커녕 생활비도 감당하지 못할 처지의 사람이 한 둘이 아니다.

소송 승소 상담자 중에는 ‘매일 콩나물국만 먹는다’거나 ‘모든 음식에 파를 아예 넣지 않는다’며 이미 극도의 불황 속 생활에 처했다는 사람도 있다. 부채를 안고 있는 사람 중 84%가 이자만 내고 있고 그것도 90% 이상의 사람이 변동금리 대출 상품을 갖고 있다.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으로 물가만 오르는 데 그치지 않고 금리 또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가계경제는 총체적인 위험 앞에서 그야말로 곡예를 하는 처지이다.

이러한 아슬아슬한 상황에서도 막연한 절망과 공포심만 안은 채 가정경제를 재구성하거나 구체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여전히 미비하다. 어느 특정 계층의 문제가 아닌 가계 전반의 문제인 만큼 정부 대책과 대안 마련이 필요하지만 그에 앞서 개별 가정에서의 재무구조 개선 노력도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당장 부채 원금을 줄이는 것은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부채의 종류를 나열해 보고 고금리 부채라도 먼저 줄일 대책을 따져봐야 한다. 불필요한 보험은 없는지, 청약예금을 막연히 들고 있지는 않은지, 세금 환급만을 목적으로 빚이 있는 상황에서도 장기저축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등의 재무구조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려는 구체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우선 보험이나 장기저축, 청약예금 등을 정리해서라도 카드론이나 리볼빙 카드 결제잔액 등 고금리 대출을 없애야 한다. 즉 자산과 부채를 하나하나 기록해 보고 당장의 현금흐름에서 부담으로 작용하는 금융비용을 줄여보자.

변동금리 대출은 가급적 고정금리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자 부담이 1%포인트가량 늘어나는 것을 감수해야 하지만 향후 금리상승 위험을 고려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소비 형태 또한 이번 기회에 대형마트에서의 대량 소비가 아닌 가까운 상권을 이용한 소량 구매로 바꿔보자. 만약을 대비한 비상금 마련에도 이전보다 좀 더 신경써야 한다.

중요한 것은 위기 상황이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냉철한 대비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전히 빚을 권하는 것으로 모든 할 일을 다했다는 식의 정부를 보면서 낙담할 수밖에 없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개별 가정에서의 위기의식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