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1 [기고]4차 산업혁명의 성공, 산·학 연계교육에 답이 있다 2016년 1월 다보스포럼은 파괴적인 기술 혁신으로 산업 전반에 걸친 대전환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4차 산업혁명의 개막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특히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의 전 세계적 파급으로 2020년까지 517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신규 고용 인력중 65%가 새로운 직종으로 전환된다고 예상했다. 이런 전망은 19세기 초 미국 인구의 90%를 차지하던 농업 종사자가 현재 2% 미만으로 감소된 것과 같은 현상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시 농업 인구는 도시화와 대량생산 등에 힘입은 제조 노동인구 증가로 큰 사회적 혼란 없이 자연스러운 전환이 가능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는 차원이 다른 대안 수립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제조업의 현실은 그리 희망적이지 않다. 국가 전체 .. 2017. 5.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