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협력사 등골 뺀 대우조선의 횡포
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경제칼럼

[사설]협력사 등골 뺀 대우조선의 횡포

by eKHonomy 2013. 10. 16.

검찰이 그제 협력업체들에서 상습적으로 금품을 뜯어온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임직원 11명을 구속기소했다. 협력업체를 마치 종 부리듯 하는 전형적인 대기업의 횡포다. 납품관계 유지에 목을 매는 약점을 악용해 거의 갈취하듯 금품을 챙겨왔다고 한다. 그 수법도 치졸하기 짝이 없을 정도다. 세계 유명 선박업체인 대우조선이 이 정도라면 다른 기업은 말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얼마 전에는 남양유업에 이어 아모레퍼시픽 영업직원의 막말 파문이 또 드러나 국회 국감장에서도 문제가 됐다. 입만 열면 동반성장을 외치는 대기업의 민낯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할 뿐이다.


검찰 수사 결과로 드러난 비리 실태는 충격적이다. 대우조선의 한 임원은 거래업체 사장에게 “거제도에 있는 2층집을 수리해야 할 것 같다”며 2000만원을 요구했다고 한다. 수리가 끝난 뒤에는 “회사 기숙사로 사용하라”면서 시중가의 2배에 달하는 임대료를 꼬박꼬박 받아왔다. 다른 임원은 “아들이 수능을 앞두고 있다”면서 순금으로 된 황금열쇠를 선물로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김연아가 밴쿠버올림픽서 착용한 목걸이를 아내가 마음에 들어한다”며 똑같은 제품을 사오라고 했다고 한다. 한 중간간부 집에서는 1억원어치의 5만원권 현금다발이 발견됐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재벌·대기업 불공정·횡포 피해 사례 발표회 (출처 :경향DB)


대우조선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잘 알려진 회사다. 더구나 대우그룹 부도 이후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살린 공기업이나 마찬가지다. 아무리 주인없는 회사라고 이렇게 무법천지로 방치돼서야 하겠는가. 지난해 이후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갑을관계가 불거지면서 대기업의 횡포가 주목받아온 터다. 하지만 대우조선 임직원들은 최소한의 윤리의식은커녕 회사 내부의 감시장치도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런 고질적인 비리 구조 속에 제대로 된 제품이 나왔을지조차 의문이다.


대기업의 횡포나 특권의식에 대한 재계의 통렬한 반성이 뒤따라야 한다. 아모레의 사례에서 보듯 협력사나 대리점을 대하는 대기업 횡포는 달라진 게 없다. 재계가 말하는 동반성장이 고작 이 정도 수준인가. ‘감히 협력사 주제에…’라는 식의 특권의식이 통하던 시절은 지났다. 대기업 스스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철저한 내부 감시와 견제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이른바 남양유업법 같은 제도적 안전장치도 서둘러야 한다. 차제에 주인없는 회사로 방치된 대우건설과 대우조선의 조기 매각을 통해 회사 지배구조를 정상화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때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