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올해 안에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10월 양적완화 종료 뒤 예고됐던 사안이지만 글로벌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돼 신중하고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외신에 따르면 옐런 의장은 엊그제 연설을 통해 “올해의 어느 시점부터 (금리가) 오르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점은 밝히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9월 혹은 12월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연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제로에 가깝게 운용하는 초저금리 정책에 이어 무제한 돈을 푸는 양적완화 정책을 펼쳐왔다. 이들 정책으로 금융위기 직후
마이너스 5%까지 갔던 성장률이 플러스 2%대로 돌아섰고, 실업률도 10% 안팎에서 6%대 이하로 낮아지면서 미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당사국에는 통화정책의 정상화 과정이지만 신흥국 입장에서는 불안 그 자체다. 달러 강세와 더불어
자본 유출 등 금융 변동성이 커지고 글로벌 유동성 축소로 투자와 소비가 둔화될 소지가 크다. 2년 전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양적완화 종료 발언만으로 신흥국 시장이 패닉에 빠졌던 것은 기억에도 새롭다. 이번 옐런 의장 발언 이후에도 미국 주식시장은
급락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한 금융통화위원회 심의 결과와 관련한 기자의 질문을 받고 있다. _ 연합뉴스
한국 경제도 낙관할 수 없다. 고질적 내수 침체에 글로벌 경기둔화,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등 여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또 다른 부담이다. 정부는 세계 7위의 외환보유액과 연간 1000억달러 안팎의 경상흑자, 유럽·일본의 지속적인
양적완화 등을 들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신흥국이 흔들리면 도미노처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나치게 안이한 접근법이다. 특히 미국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경우 감당하기 힘들어질 게 뻔하다. 미국 내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2년 내 최대 연 4%까지 인상될 것이란 예측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 역시 금리 인상 압박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금리가 올라가면 기업은 물론이고 저금리로 빚을 한껏 늘린 가계는 극한 상황에 처할 게 뻔하다. 더 늦기 전에
‘빚내 집 사라’는 식의 정책은 거둬들이고, 11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줄이는 실질적 처방을 내놔야 한다. 가계
역시 금리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야 함은 물론이다.
'온라인 경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하청업체 기술 빼돌리는 게 대기업의 상생경영인가 (0) | 2015.05.27 |
---|---|
[사설]주목되는 동네서점들의 연대와 자구 노력 (0) | 2015.05.25 |
[기고]‘투자자 국가 분쟁 해결(ISDS)’이지 ‘소송(ISD)’이 아니다 (0) | 2015.05.21 |
[사설]론스타 소송, 뭐가 켕겨 비밀로 일관하나 (0) | 2015.05.15 |
[기고]과잉 밥쌀용 쌀 더 수입하겠다는 정부 (0) | 2015.05.14 |
댓글